When someone says "I Want a programming language in which I need only say what I wish done," give him a lolipop.*


what is C? The simple answer-a widely used programming language developed in the early 1970s at Bell Laboratories-conveys little of C's special flavor. Before we become immersed in the details of the language, let's take a look at where C came from, what it was designed for, and how it has changed over the years (Sec-tion 1.1). We'll also discuss C'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see how to get the most out of the language (Section 1.2).


1.1 History of C

Let's take a quick look at C's history. from its origins, to its coming of age as a standardized language, to its influence on recent languages. 


Origins

C is a by-product of the UNIX operatio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at Bell Lab-oratories by Ken Thopson, Dennis Richie, and others. Thompson single-hand-eldly wrote the original version of UNIX, which ran on the DEC PDP-7 computer, an early minicomputer with only 8K words of main memory (this was 1969, after all!).

Like other operating systems of the time, UNIX was written in assembly lan-guage. Programs written in assembly language are usually painful to debug and hard to enhance; UNIX was no exception. Thompson decided that a higher-level language was needed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UNIX, so he designed a small language named B. Thompson based B on BCPL, a systems programming language developed in the mid-1960s. BCPL, in turn, traces its ancestry to Algol 60, one of the earliest (and most influential) programming languages.

Ritchie soon joined the UNIX project and began programming in B. In 1970. Bell Labs acquired a PDP-11 for the UNIX in B. By 1971. it became apparent that B was not well-suited to the PDP-11, so Richie began to develop an extended version of B. Hel called his language NB ("New B") at first, and then, as it began to diverge more from B, he changed the name to C. The language was sta-ble enough by 1973 that UNIX could be rewritten in C. The switch to C provided an important benefit: portability. By writing C compilers for other computers at Bell Labs, the team could get UNIX running on those machines as well.


Standardization

C continued to evolve during the 1970s, especially between 1977 and 1979.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first book on C appeared. The C Programming Lan-guage, written by Brian Kernighan and Dennis Ritchie and published in 1978. quickly became the bible of C programmers. In the absence of an officail standard for C, this book-known as K&R or the "White Book" to aficionados-served as a de facto standard.


During the 1970s. there were relatively few C programmers, and most of the, were UNIX users. By the 1980s, however, C had expanded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the UNIX world. C compilers became available on a variety of machines running under different operating systems. In particular, C began to establish itself on the fast-growing IBM PC platform. 


With C's increasing popularity came problems. Programmers who wrote new C compilers relied on K&R as a reference. Unfortunately, K&R was fuzzy about some language features, so compilers often treated these features differently. Also, K&R failed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hich features belonged to C and which were part of UNIX. To make matters worse, C continued to change after K&R was published, with new features being added and a few older features removed. The need for a thorough, precise, and up-to-date description of the lan-guage soon became apparent. Without such a standard, numerous dialects would have arisem, threatening the portability of C programs, one of the language's major strengths.


The development of a U.S. standard for C began in 1983 under the auspices of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After many revisions, the stan-dard was completed in 1988 and formally approved in December 1989 as ANSI standard X3.159-1989. In 1990, it was approv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s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9899:1990. This ver-sion of the language is usually referred to as C89 or C90, to distinguish it from the original cersion of C, often called K&R C. Appendix C summarizes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C89 and K&R C.


The language underwent a few changes in 1995 (described in a document known as Amendment 1). More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with the publication of a new standard, 1). More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with the publication of a new standard, ISO/IEC 9899:1999, in 1999. The language described in this standard is commonly known as C99. The terms "ANSI C," "ANSI/ISO C," and "ISO C" -Once used to describe C89-are now ambiguous, thanks to the existence of two standards.


Because C99 isn't yet universal, and because of the need to maintain millions(if not billions) of lines of code written in older versions of C, I'll use a special icon(shown in the left margin) to mark discussions of features that were added in C99. A compiler that doesn't recognize these features isn't "C99-compiant." If histroy is any guide, it will be some years before all C compilers are C99-compliant, if they ever are. Appendix B lists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C99 and C89.


C-Based Languages

c ha had a huge influence on modern-day programming languages, many of which borrow heavily from it. Of the many C-based languages, several are espe-cially prominent:

C++ includes all the features of C, but adds classes and other features to sup-port object-oriented programming.

Java is base on C++ and therefore inherits many C features.

C# is a mor recent language derived from C++ and Java.

Perl was originally a fairly simple scripting language; over time it has grown and adopted many of the features of C.


Considering the popularity of these newer languages, it's logical to ask whether it's worth the trouble to learn C. I think it is, for several reasons. First, learning C can give you greater insight into the features of C++, Java, C#, Perl, and the other C-based languages. Programmers who learn one of these languages first often fail to master basic features that were inherited from C. Second, there are a lot of older C programs around; you may find yourself needing to read and main-tain this code. Third, C is still widely used for developing new software, especially in situations where memory or processing power is limited or where the simplicity of C is desired.


If you haven't already used one of the newer C-based languages, you'll find that this book is excellent preparation for learning these languages. It emphasizes data abstraction, information hiding, and other principles that play a large role in object-oriented programming. C++ includes all the features of C, so you'll be able to use everything you learn from this book if you later tackle C++. Many of the features of C can be found in the other C-based languages as well.


1.2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


Like any other programming language, C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Both stem from the language's original use (writing operating systems and other systems software) and its underlying philosophby:


C is a low-level language. To serve as a suitable language for systems pro-gramming, C provides access to machine-level concepts (bytes and addresses, for example) that other programming languages try to hide. C also provides operations that correspond closely to a computer's built-in instructions. so that programs can be fast. Since application programs rely on it for input/output , storage management, and numerous other services, an operating system can't afford to be slow.

C is a small language. C provides a more limited set of features than many languages. (The reference manual in the second edition of K&R covers the entire language in 49 pages.) To keep the number of features small, C relies heavily on a "library" of standard functions. (A "function" is similar to what other programming languages might call a "procedure." "subroutine." or "method.")


C is a permissive language. C assumes that you know what you're doing, so it allows you a wider degree of latitude than many languages. Moreover, C doesn't mandate the detailed error-checking in other languages.

Strengths

C's strengths help explain why the language has become so popular:

Efficiency. Efficiency has been one of C's advantages from the beginning. Because C was intended for applications where assembly language had tradi-tionally been used, it was crucial that C programs could run quickly and in limited amounts of memory. 


portability. Although program portability wasn't primary goal of C, it has turned out to be one of the language's When a program must run on computers ranging from PCs to supercomputers, it is often written in C. One reason for the portability of C programs is that-thanks to C's early associa-tion into incompatible dialects. Another is that C compilers are small and easily written, which has helped make them widely available. Finally, C itself has features that support portability (although there's nothing to prevent pro-grammers from writing nonportable programs).


power. C's large collection of data types and operators help make it a power-ful language. In C, it's often possible to accomplish quite a bit with just a few lines of code.


Flexibility. Although C was originally designed for systems programming, it has no inherent restrictions that limit it no this arena. C is now used for appli-cations of all kinds, from embedded systems to commercial data processing. Moreover, C imposes very few restrictions on the use of its features; opera-tions that would be illegal in other languages are often permitted in C. For example, C allows a character to be added to an integer value (or, for that mat-ter, a floating-point number). This flexibility can make programming easier, although it may allow some bugs to slip through.

Standard library. One of C's great strengths is its standard library, which con-tains hundreds of functions for 


Weaknesses




다음 프로그램에서는 oC=(5/9)(oF-32)라는 공식을 사용하여 화씨 온도와 다음 표를 인쇄한다.
섭씨 또는 섭씨 등가물:
1 -17
20 -6
40 4
60 15
80 26
100 37
120 48
140 60
160 71
180 82
200 93
220 104
240 115
260 126
280 137
300 148
프로그램 자체는 여전히 메인이라는 단일 함수의 정의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인쇄된 것보다 길다.
"안녕, 세계"라고 하지만 복잡하지는 않다. 코멘트, 선언, 변수 등 몇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산술 식, 루프 및 형식화된 출력.
#include <stdio>.h>
/* Fahrenheit-Celsius 표 인쇄
fahr = 0, 20, ..., 300 */의 경우
주지의
{
화씨, 섭씨.
아래, 위, 층계;
하한 = 0; /* 온도 척도 하한 */
상한 = 300; /* 상한 */
단계 = 20; /* 단계 크기 */
화씨 = 더 낮음;
와중 (fahr <= upper){
섭씨 = 5 * (190r-32) / 9;
인쇄%d\t%d\n", 화씨, 섭씨);
fahr = fahr + step
}
}
두 줄
/* Fahrenheit-Celsius 표 인쇄
fahr = 0, 20, ..., 300 */의 경우
이 경우 프로그램의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코멘트가 될 수 있다. /*와 */ 사이의 모든 문자는 다음에 의해 무시됨
컴파일러; 그것들은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코멘트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 나타날 수 있다.
빈 캔, 탭 또는 새 줄 캔.
C에서 모든 변수는 사용하기 전에 선언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실행되기 전에 함수의 시작 부분에 선언되어야 한다.
진술들 선언문은 변수의 속성을 발표한다. 선언문은 다음과 같은 변수의 이름과 목록으로 구성된다.
화씨, 섭씨.
아래, 위, 층계;


형식 int는 나열된 변수가 정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플로트와 대조적으로 부동소수(float point), 즉 숫자를 의미한다.
부분적인 부분을 가질 수 있는. int와 float의 범위는 모두 사용하는 기계에 따라 달라진다; 16비트 ints,
-32768과 +32767 사이에 위치하며, 32비트 int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이다. 플로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32비트 수량으로, 적어도
일반적으로 약 10-38에서 1038 사이의 6개의 중요한 숫자와 크기
.
C는 int 및 float 이외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다른 데이터 유형을 제공한다.


char 

 character - a single byte

 short

 short integer

 long

 long integer

 double

 double-precision floating point


이 물체(object)의 크기 또한 기계에 의존한다. 또한 이러한 기본 유형의 배열, 구조 및 조합이 있다.
그들에게 보내는 조언과 그것들을 되돌려주는 기능들, 우리가 적절한 때에 만날 수 있는 모든 것.
온도 변환 프로그램의 계산은 할당 문으로 시작한다.


lower = 0; 

upper = 300; 

step = 20; 


변수를 초기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개별 문장은 세미콜론으로 종료된다.
표의 각 행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되므로 출력 라인당 1회 반복하는 루프를 사용한다. 이것이 그 목적이다.
순환하는 동안에
와중 (fahr <= upper){
...
}
while 루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괄호 안의 조건을 시험한다. 참일 경우(fahr가 상한보다 작거나 같음),
루프 본체(브레이스로 둘러싸인 세 개의 문장)가 실행된다. 그런 다음 상태를 다시 테스트하고, 만약 사실이라면,
육체가 다시 실행된다. 테스트가 거짓이 되면(fahr이 상부를 초과함) 루프가 종료되며, 실행은 다음 단계에서 계속된다.
루프를 따르는 진술 이 프로그램에는 더 이상의 진술이 없어 종료된다.
본문은 온도 변환기에서와 같이 가새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문장이거나 단일 문장이 될 수 있다.
의 경우와 같이 교정기를 착용하지 않고.
한편 (i < j)
i = 2 * i;
어느 경우든, 우리는 항상 그 동안 통제된 진술들을 하나의 탭 스톱에 의해 들여쓰게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4로 나타낸 것임)
공간) 루프 안에 어떤 문장이 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들여쓰기는 의 논리적 구조를 강조한다.
프로그램 C 컴파일러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보이는지 신경쓰지 않지만, 적절한 들여쓰기 및 간격은 매우 중요하다.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한 줄에 한 문장씩만 쓰고 주위에 빈 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운영자가 그룹화를 명확히 한다. 사람들은 열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지만 교정기의 위치는 덜 중요하다. 우리는 가지고 있다.
몇 가지 인기 있는 스타일 중 하나를 선택했다.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을 선택한 다음, 꾸준히 사용해라.
대부분의 일은 루프 본체에서 이루어진다. 섭씨 온도는 계산되어 변수에 할당된다.
그 진술에 열심인.
섭씨 = 5 * (190r-32) / 9;
단순히 5/9를 곱하기보다 5를 곱하고 9를 곱하는 이유는 다른 많은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C에서
정수 분할 잘림: 모든 부분 부분 폐기. 5와 9는 정수니까. 5/9는 0으로 잘라서
모든 섭씨 온도는 0으로 보고될 것이다.
이 예는 또한 printf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조금 더 보여준다. printf는 범용 출력 포맷 기능이다.
7장에 자세히 설명하겠다. 첫 번째 인수는 인쇄할 문자열을 나타내며 각 %는 인쇄 위치를 나타낸다.


다른 (두 번째, 세 번째, ...)의 주장 중에서 대체하고, 어떤 형태로 인쇄할 것인가. 예를 들어 %d은(는)
정수 인수, 그러니까 문장이.
인쇄%d\t%d\n", 화씨, 섭씨);
화씨 및 섭씨 두 정수의 값이 인쇄되고 그 사이에 탭(\t)이 있다.
인쇄물의 첫 번째 인수의 각 % 구성은 해당하는 두 번째 인수, 세 번째 인수 등과 쌍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숫자와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맞춰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틀린 답을 얻게 될 것이다.
그런데, printf는 C 언어의 일부가 아니다; C 자체에 정의된 입력이나 출력은 없다. printf는 그저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C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의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기능한다. printf의 동작은
그러나 ANSI 표준에서 정의되므로, ANSI 표준의 속성은 다음 사항을 준수하는 컴파일러 및 라이브러리와 동일해야 한다.
표준
C 자체에 집중하기 위해 7장까지는 입력과 출력에 대해 별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특히, 우리는 연기할 것이다.
그때까지 포맷된 입력.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섹션 7.4. scanf는 다음과 같다.
출력물을 쓰는 대신에 입력을 읽는 것을 제외하고, printf와 같다.
온도 변환 프로그램에 몇 가지 문제가 있다. 더 간단한 것은 생산량이 그리 예쁘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숫자들은 우열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은 쉽게 고칠 수 있다; 인쇄물 문장의 각 %d을 넓히면
인쇄된 숫자들은 그 분야에서 우표화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printf("%3d %6d\n", 화씨, 섭씨);
세 자리 너비의 필드에서 각 행의 첫 번째 숫자를, 여섯 자리 너비의 필드에서 두 번째 숫자를 다음과 같이 인쇄한다.
0 -17
20 -6
40 4
60 15
80 26
100 37
...
더 심각한 문제는 우리가 정수 산수를 사용해 왔기 때문에 섭씨 온도가 매우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인스턴스 0oF는 실제로 -17이 아니라 -17.8oC 정도 입니다. 더 정확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부동 소수점 산수를 사용해야 한다.
정수 대신에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일부 변경이 필요하다. 두 번째 버전은 다음과 같다.
#include <stdio>.h>
/* Fahrenheit-Celsius 표 인쇄
fahr = 0, 20, ..., 300; 부동 소수점 버전 */
주지의
{
화씨(섭씨), 섭씨(섭씨)를 띄운다.
아래, 위, 층계;
하한 = 0; /* 온도 조절 눈금 하한 */
상한 = 300; /* 상한 */
단계 = 20; /* 단계 크기 */
화씨 = 더 낮음;
와중 (fahr <= upper){
섭씨 = (5.0/9.0) * (195r-32.0);
printff%3.0f %6.1f\n", fahr, s℃);
fahr = fahr + step
}
}
이것은 화씨나 섭씨 등이 부유하다고 선언되고 전환식도 그 이전과 많이 같다.
보다 자연스런 방법으로 쓰여진 이전 버전에서는 정수 분할로 인해 5/9를 사용할 수 없었다.
영점까지 상수의 소수점은 부동소수점임을 나타내지만, 5.0/9.0은 부동소수점이기 때문에 잘리지 않는다.
두 부동 소수점 값의 비율
산술 연산자가 정수 피연산자를 갖는 경우 정수 연산이 수행된다. 산술 연산자가 산술 연산자가 있는 경우


부동 소수점 피연산자와 정수 피연산자 1명이지만, 정수는 작업 전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된다.
끝났어 만약 우리가 (fahr-32)라고 썼다면, 32는 자동으로 부동소수로 변환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쓰기는
정수 값이 있더라도 명시적 소수점이 있는 부동 소수점 상수는 부동 소수점을 강조한다.
인간 독자의 자연
정수를 부동소수로 변환하는 경우의 자세한 규칙은 제2장에 있다. 일단, 그 임무는
화씨 = 더 낮음;
그리고 테스트
와중(와중 <=상위)
또한 자연적인 방법으로 작용한다 - int는 수술이 끝나기 전에 부유물로 전환된다.
인쇄 f 변환 규격 %3.0f에 따르면 부동 소수점 번호(여기 화씨)는 최소 3개 이상 인쇄되어야 한다.
문자 폭, 소수점 및 소수점 없음. %6.1f는 인쇄할 다른 숫자(숫자)를 설명한다.
최소 6자 이상의 너비, 소수점 뒤에 1자리. 출력은 다음과 같다.
0 -17.8
20 -6.7
40 4.4
...
규격에서 폭과 정밀도를 생략할 수 있다: %6f는 숫자가 최소 6자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2f
소수점 뒤에 2자를 지정하지만 폭은 제한되지 않는다. %f는 단순히 숫자를 다음과 같이 인쇄하라고 말한다.
부동 소수점

%d 

 print as decimal integer

 %6d

 print as decimal integer, at least 6 characters wide

 %f

 print as floating point

 %6f

 print as floating point, at least 6 characters wide

 %.2f

 print as floating point, 2 characters after decimal point

 %6.2f

 print as floating point, at least 6 wide and 2 after decimal point



그 중에서도 printf는 또한 8진수의 %o, 16진수의 %x, 문자의 %c, 문자열의 %s, 그리고 %%를 인식한다.
그 자체로
연습 1-3. 표 위에 제목을 인쇄하도록 온도 변환 프로그램을 수정한다.
연습 1-4. 화씨 테이블에 해당하는 온도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1장 - 자습서 소개

C의 간단한 소개부터 시작합시다. 우리의 목표는 언어의 필수적인 요소들을 실제 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것이다.

세부사항, 규칙, 예외사항 등에 얽매이지 않고 현시점에서 우리는 완전하거나 심지어 정확해지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예제가 정확해야 한다는 것을 저장하십시오.)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당신이 글을 쓸 수 있는 지점으로 당신을 데려가고 싶다.

유용한 프로그램,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변수와 상수, 산술, 제어 흐름,

함수, 그리고 입력과 출력의 기초. 우리는 이 장 C의 특징에 대해 의도적으로 생략하고 있다.

더 큰 프로그램을 쓰는데 중요하다. 여기에는 포인터, 구조물, C의 풍부한 연산자 집합의 대부분, 여러 가지가 포함된다.

제어 흐름 문 및 표준 라이브러리.

이 접근방식과 그 단점.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어떤 특정한 특징에 대한 완전한 이야기는 여기서 찾을 수 없다는 것과, 그리고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바로 그것이다.

튜토리얼은 간략하게 설명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예들은 C의 전권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C의 전력은 그렇지 않다.

간결하고 우아하다. 우리는 이러한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다른 단점은 나중에라는 것이다.

장들은 반드시 이 장의 일부를 반복할 것이다. 우리는 반복이 귀찮은 것보다 더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어떤 경우에도 경험이 풍부한 프로그래머는 이 장의 자료에서 자신의 자료로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그래밍의 필요성 초보자는 스스로 작고 비슷한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완해야 한다. 두 그룹 모두 사용 가능

제2장에서 시작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걸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서.

1.1 시작하기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유일한 방법은 그 안에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다. 처음 쓰는 프로그램은 모두에게 동일하다.

언어:

단어 인쇄

안녕 세계

이것은 큰 장애물이다. 그것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텍스트를 어딘가에 만들고, 성공적으로 컴파일하고, 로딩할 수 있어야 한다.

실행해보고, 당신의 출력이 어디로 갔는지 알아내라. 이러한 기계적인 세부 사항을 숙달하면, 다른 모든 것은 비교적 쉽다.

C에서 '헬로, 월드'를 인쇄하는 프로그램은

#include <stdio.h>

main()

{

printf("hello, world\n";

}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 UNIX 운영 체제의 특정 예로서

hello.c와 같이 이름이 ''c'로 끝나는 파일에 프로그램을 만든 다음 명령으로 프로그램을 컴파일해야 한다.

cc 안녕.c

등장인물을 생략하거나 무언가를 잘못 발음하는 것과 같은 어떤 것도 망치지 않았다면, 편찬은 조용히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a.out이라는 실행 파일을 만들어라. 명령을 입력하여 a.out을 실행하는 경우

a.out

그것은 인쇄될 것이다

hello, world

다른 시스템에서는 규칙이 다를 수 있으므로 현지 전문가에게 문의하십시오.

자,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몇 가지 설명을 위해. C 프로그램은 크기가 어떻든 기능과 변수로 구성된다. A을

함수에는 수행할 계산 작업을 지정하는 문장이 포함되며 변수에는 다음 기간 동안 사용되는 값이 저장된다.

연산 C 기능은 포트란의 서브루틴과 기능 또는 파스칼의 절차와 기능과 같다. 우리의

예를 들어 메인이라는 함수를 들 수 있다. 보통 당신은 당신이 좋아하는 어떤 이름이라도 자유롭게 기능을 부여할 수 있지만, "main"은

특수 - 프로그램이 메인 시작 부분에서 실행되기 시작함 이것은 모든 프로그램이 메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디선가


main은 보통 다른 기능을 호출하여 그 작업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당신이 작성한 기능, 제공된 라이브러리의 기능 등이 있다.
너를 위해서. 프로그램의 첫 번째 줄,
#include <stdio>.h>
컴파일러에게 표준 입력/출력 라이브러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지시한다. 라인은 많은 C의 시작 부분에 나타난다.
원본 파일 표준 라이브러리는 7장과 부록 B에 설명되어 있다.
함수 간 데이터 통신의 한 가지 방법은 호출함수가 인수라고 하는 값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것이 부르는 기능에. 함수 이름 뒤의 괄호는 인수 목록을 둘러싸고 있다. 이 예에서 mai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빈 목록( )으로 표시되는 인수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함수다.
#include <stdio>.h> 표준 라이브러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mainstep은 main이라고 불리는 함수를 정의한다.
인수 값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 본문 진술은 가새로 동봉됨
printf("hello, world\n; 메인 호출 라이브러리 함수 printf
이 일련의 문자를 인쇄하다
} \n은 뉴라인 문자를 나타냄
첫 번째 C 프로그램
함수의 문장은 가새 { }에 동봉되어 있다. 함수 메인에는 하나의 문만 들어 있다.
printf("hello, world\n";
함수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이어서 괄호화된 인수 리스트가 나오므로, 이것은 함수를 printf라고 부른다.
printf는 출력물을 인쇄하는 라이브러리 함수인데, 이 경우 문자열은 "Hello, world\n.printf는 출력물을 인쇄한다.
인용 부호
"hello, world\n"과 같이 큰따옴표로 된 일련의 문자를 문자열 또는 문자열 상수라고 부른다. 를 위해
우리가 문자열을 사용하는 유일한 방법은 인쇄물과 다른 기능들을 위한 논쟁일 것이다.
문자열의 \n 순서는 뉴라인 문자에 대한 C 표기법이며, 인쇄할 때 출력이 왼쪽으로 진척된다.
다음 줄에 마진하다 \n(가치 있는 실험)을 빼놓으면, \n(가치 있는 실험)이 끝난 뒤에 줄서기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출력이 인쇄하다 \n을 사용하여 인쇄물 인수에 새 줄 문자를 포함하십시오.
printf("hello, world
");
C 컴파일러는 오류 메시지를 생성할 것이다.
printf는 결코 뉴라인 문자를 자동으로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통화를 사용하여 단계별로 출력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우리의 첫 번째 프로그램도 똑같이 쓰여질 수 있었다.
#include <stdio>.h>
주지의
{
printf("hello, ";;
printf("world";;
printf("\n";
}
같은 생산량을 생산하기 위해서.
\n은 단일 문자만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n과 같은 탈출 시퀀스는 일반적이고 확장 가능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형식이 어렵거나 보이지 않는 문자를 나타내기 위해. C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으로는 탭의 경우 \t, 백스페이스의 경우 \b, \" 등이 있다.
백슬래시 자체에 대한 이중 인용과 \\ 섹션 2.3에 전체 목록이 있다.
운동 1-1. 시스템에서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실행하십시오. 프로그램의 일부를 빼서 보는 실험을 한다.
어떤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는지 확인하십시오.
운동 1-2. 인화 인화 문자열에 \c가 포함되어 있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실험하십시오. 여기서 c는 일부 문자가 아닌 경우
위에 열거한

C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다. 기존에 있던 UNIX 운영 체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왔다.

개발된, 시스템과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모두 C로 작성되기 때문에. 그러나 언어는 묶여 있지 않다.

하나의 운영 체제나 기계에 연결된다. 그리고 비록 그것이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불렸지만, 그것은 그것이 그것이기 때문이다.

컴파일러와 운영체제 작성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그것은 많은 다른 분야에서의 주요 프로그램 작성에 동등하게 잘 사용되어 왔다.

도메인들

C의 많은 중요한 아이디어들은 마틴 리차드에 의해 개발된 BCPL 언어에서 유래한다. BCPL이 에 미치는 영향

C는 언어 B를 통해 간접적으로 진행되었는데, Ken Thompson이 1970년에 처음으로 UNIX 시스템을 위해 쓴 것이다.

DEC PDP-7

BCPL과 B는 '유형 없는' 언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C는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제공한다. 기본적인 타입은 등장인물이지만

여러 크기의 정수 및 부동 소수점 번호. 또한 다음과 같이 생성된 파생 데이터 유형의 계층도 있다.

포인터, 배열, 구조 및 조합. 표현식은 연산자와 피연산자로부터 형성된다. 모든 표현식은 다음을 포함한다.

할당 또는 함수 호출은 문장이 될 수 있다. 포인터는 기계에 독립적인 주소 산술을 제공한다.

C는 잘 구성된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본적인 제어 흐름 구조를 제공한다: 문 그룹화, 결정

만들기(만약에, 가능한 값 중 하나를 선택(스위치), 종단 테스트를 맨 위에 놓고 루핑(그 동안,

(for) 또는 (do) 하단과 조기 루프 출구(break).

함수는 기본 형식, 구조, 조합 또는 포인터의 값을 반환할 수 있다. 어떤 기능도 재귀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국부적

변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이거나 각 호출로 새로 생성된다. 함수 정의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지만

변수는 블록-프로토콜 방식으로 선언될 수 있다. C 프로그램의 기능은 다음과 같은 별도의 소스 파일에 존재할 수 있다.

따로 편찬하다 변수는 함수의 내부일 수 있으며, 외부일 수 있지만 단일 소스 파일 내에서만 알려져 있거나,

전체 프로그램에 표시됨.

사전 처리 단계는 프로그램 텍스트, 다른 원본 파일 포함 및 조건부에 대한 매크로 대체 수행

편찬

C는 상대적으로 '저수준' 언어다. 이 특성화는 경멸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지 C가 같은 것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컴퓨터가 하는 개체, 즉 문자, 숫자 및 주소. 이것들을 조합하여 움직일 수 있다.

실제 기계에 의해 구현된 산술 및 논리 연산자와 함께.

C는 문자열, 집합, 목록 또는 배열과 같은 복합 객체를 직접 처리하는 작업을 제공하지 않는다. 없다

구조물이 하나의 단위로 복사될 수 있지만 전체 배열 또는 문자열을 조작하는 작업 언어가 정의되지 않음

정적 정의 및 함수의 로컬 변수에 의해 제공되는 스택 규율을 제외한 모든 저장소 할당 설비

쓰레기 더미나 쓰레기 수거가 없다. 마지막으로, C 자체는 입출력 설비를 제공하지 않으며, READ나 WRIT이 없다.

문장, 내장 파일 액세스 방법 없음. 이러한 모든 상위 레벨 메커니즘은 명시적으로 호출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기능들 대부분의 C 구현에는 그러한 기능의 합리적으로 표준화된 컬렉션이 포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C는 테스트, 루프, 그룹화 및 하위 프로그램 등 간단한 단일 스레드 제어 흐름만 제공하지만

다중 프로그래밍, 병렬 작동, 동기화 또는 코루틴.

비록 이러한 특징들 중 일부가 없는 것이 심각한 결핍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내가 어떤 기능을 불러야 한다는 말씀이시죠?

두 개의 문자열을 비교하시겠습니까?'), 언어를 적당한 크기로 낮추면 실질적인 이점이 있다. C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C는 비교적 작다.

작은 공간에서 설명할 수 있고, 빠르게 배울 수 있다. 프로그래머는 합리적으로 알고 이해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규칙적으로 전체 언어를 사용한다.

여러 해 동안, C의 정의는 The C Programming Language 초판의 참조 매뉴얼이었다. 1983년,

미국 국립 표준 연구소(ANSI)는 의 현대적이고 포괄적인 정의를 제공하기 위해 위원회를 설립했다.

C. 결과 정의인 ANSI 표준 또는 'ANSI C'는 1988년 말에 완료되었다. 의 대부분의 특징

표준은 이미 현대 컴파일러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

표준은 원본 참조 매뉴얼에 기초한다. 언어는 비교적 거의 변하지 않는다.; 언어의 목표 중 하나이다.

표준은 대부분의 기존 프로그램이 유효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러가 생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새로운 행동에 대한 경고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들에게 가장 중요한 변화는 함수를 선언하고 정의하기 위한 새로운 구문이다. A함수

선언은 이제 함수의 인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정의 구문은 일치하도록 변경된다. 이 엑스트라

정보는 컴파일러들이 불일치하는 주장으로 인한 오류를 훨씬 더 쉽게 감지할 수 있게 해준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그것은

그 언어에 매우 유용한 추가.

다른 작은 규모의 언어 변화도 있다. 널리 보급되어 있던 구조 할당 및 열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 공식적으로 언어의 일부분이야 이제 부동 소수점 연산은 단일 정밀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의 속성

특히 서명되지 않은 유형의 경우 산술을 명확히 한다. 전처리가 더 정교하다. 대부분의 이러한 변화들은 대부분

대부분의 프로그래머에게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표준의 두 번째 중요한 기여는 C와 함께할 도서관의 정의다. 다음에 대한 함수를 지정한다.

운영 체제 액세스(예: 파일 읽기 및 쓰기), 포맷된 입력 및 출력, 메모리 할당, 문자열

조작 같은 것. 데이터 함수 선언에 대한 균일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표준 헤더 모음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호스트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프로그램은 호환되는 동작이 보장된다. 도서관의 대부분은

UNIX 시스템의 "표준 I/O 라이브러리"를 면밀히 모델링. 이 도서관은 초판에 기술되어 있으며,

다른 시스템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들은 큰 변화를 보지 못할 것이다.

C가 제공하는 데이터 유형과 제어 구조는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직접 지원되기 때문에 런타임 라이브러리

자급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것은 매우 작다.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는 명시적으로만 호출되므로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필요 없으면 피하다 대부분은 C로 작성할 수 있으며, 그들이 숨기고 있는 운영체제 세부사항을 제외하고,

휴대할 수 있다.

비록 C가 많은 컴퓨터의 기능과 일치하지만, 그것은 어떤 특정한 기계 구조와도 무관하다. 조금으로

휴대용 프로그램, 즉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변경 없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다. The

표준은 휴대성 문제를 명시적으로 만들고, 다음이 있는 기계를 특징짓는 상수 집합을 규정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C는 강한 형식의 언어는 아니지만, 진화하면서 활자체크기가 강화되었다. 의 원래 정의

C는 포인터와 정수의 교환을 눈살을 찌푸렸으나 허락했다; 이것은 제거된 지 오래되었고, 표준이 되었다.

이제 선량한 컴파일러에 의해 이미 시행된 적절한 선언과 명시적인 변환을 요구한다. 새로운

함수 선언은 이 방향의 또 다른 단계다. 컴파일러는 대부분의 유형 오류를 경고하며, 자동은 없다.

호환되지 않는 데이터 유형의 변환. 그럼에도 불구하고 C는 프로그래머가 자신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는 기본철학을 간직하고 있다.

하는 것; 그것은 단지 그들의 의도를 명시적으로 말하기만 하면 된다.

C는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흠이 있다. 일부 연산자는 잘못된 우선 순위를 가지며, 일부 구문은

더 나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는 매우 효과적이고 다양한 언어들을 위한 표현력을 증명했다.

프로그래밍 응용 프로그램

이 책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 있다. 1장은 C의 중심부에 관한 자습서다. 그 목적은 독자를 다음과 같이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방법이 그 안에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라고 강하게 믿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튜토리얼

프로그래밍의 기본 요소에 대한 실무 지식을 가정한다; 컴퓨터나 에 대한 설명은 없다.

컴파일도 n=n+1과 같은 표현의 의미도 없다. 비록 우리는 가능한 한 유용함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지만

프로그래밍 기법, 이 책은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참조 작업이 아닌, 강제적으로 필요한 경우

우리는 언어에 집중해 왔다.

2장에서 6장까지는 C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상세하게, 오히려 1장보다는 형식적으로 논한다.

고립된 단편보다는 완전한 프로그램의 예에 여전히 중점을 두고 있다. 제2장에서는 기본적인 데이터 유형을 다루고 있다.

연산자와 표현식. 제3장 위협 흐름 제어: if-else, switch, while, for 등 제4장에서는 기능 및

프로그램 구조 - 외부 변수, 스코프 규칙, 다중 소스 파일 등 - 그리고 전처리기 터치.

제5장에서는 포인터와 어드레스 산수를 논한다. 6장은 구조와 결합을 다룬다.

7장은 운영 체제에 대한 공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준 라이브러리를 설명한다. 이 라이브러리가 정의됨

ANSI 표준에 의해, C를 지원하는 모든 기계에서 지원됨을 의미하므로, 그것을 입력, 출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들

그리고 다른 운영 체제 액세스는 변경 없이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컴퓨팅(컴퓨터를 다루는) 월드는 1978년 The C Programming Language가 출판한 이후 큰 변혁을 겪었다. 큰 컴퓨터는 훨씬더 커졌다. 그리고 PC(개인용 컴퓨터)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10년 전의 컴퓨터의 필적할만큼 이 기간의 시간 동안 C도 대단하지 않을 정도지만 변했고, UNIX의 OS로 그 기원을 훨씬 뛰어 넘었다!


C의 커지는 인기, 세월이 흐르면서 변화는 언어, 그리고 그 설계에 관여하지 않은 그룹에 의한 컴파일러의 생성, 이 책의 초판이 제공한 것보다 더 정확하고 현대적인 언어 정의의 필요성을 증명하기 위해 결합되었다. 1983년 미국 국가표준연구소(ANSI)는 그 정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언어 C에 대한 모호하지 않고 기계에 의존하지 않는 정의"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결과는 C에 대한 ANSI 표준이다.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브라이언 W. 케르니건
데니스 M. 리치

  • 서문
  • 초판 서문
  • 소개

1장 자습서 소개 (튜토리얼 인트로덕션)

1.시작하기

2.변수와 산술표현식(아리쓰메틱 익스프레션)

3.for문(the for statement)

4.기호상수(심볼릭 콘스탄트)

5.문자 입출력(character Input and Output)

1.파일 복사하기

2.문자 세기

3.줄 세기

4.단어 세기

6.배열

7.함수(펑션)

8.인자(알규멘트-call by 벨류)

9.문자 배열

10.익스터널 변수와 스코프

2장 타입, 오퍼레이터 그리고 표현식

1.변수 이름

2.데이터 타입과 사이즈

3.상수

4.선언

5.산술 연산자

6.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7.타입 변환(컨버젼)

8.증가와 감소 연산자

9.비트와이즈(bitwise) 오퍼레이터

10.할당 연산자와 표현식

11.조건(conditional)의 표현식

12.precedence and Order of Evaluation


3장 제어문 (Contorl Flow)

1.스테이멘스와 블록 

2.If-Else

3.Else-If

4.Switch

5.Loof While, For

6.Loof Do While

7.Break와 Continue

8.Goto and labels


4장 함수(펑션)와 프로그램 구조

1.함수의 기초

2.함수 반환?(Returning) 정수 없는

3.익스터널 변수

4.Scope Rules

5.Header Files

6.스태틱 변수

7.레지스터 변수 

8.블록 구조

9.초기화

10.리크루져(Recursion)

11.C 전처리기

1.파일 포함?(inclusion)

2.매크로 substitution

3.Conditional(조건?) Inclusion

5장 포인터와 배열

1.포인터와 주소

2.포인터와 함수 알규멘트

3.포인터와 배열

4.주소 아리쓰메틱(산술?)

5.문자 포인터와 함수

6.포인터 배열:포인터를 위한 포인터?(pointers to pointers)

7.Multi-dimensional 배열

8.포인터 배열의 초기화

9.포인터 vs 멀티-dimensional 배열

10.커멘드-라인 알규멘트 

11.포인터 to 함수

12.컴플리케이티드(복잡한?) 선언

6장 구조체 


외인의 엄청난 매수세(UBS 모간서울)와 차트상 정배열(일-주-월) 때문에 매수 결정

일봉. 거래량도 이쁘다 전고점 거래량보다 증가중

주봉

월봉

그리고 기관 제왕 투신의 매수세
오늘도 일단 강조하고 시작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자금관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또 강조합니다..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금관리'입니다. 그 어떤 극강의 매매 기법이나 잡기술도 '자금관리' 보다 절대 중요할 수는 없습니다.

혹시, 제 글을 처음 보신다면 이 글은 안보시더라도 반드시 http://cafe.naver.com/stockschart/590350?글은 보셔야 합니다..

이 글은 '자금관리'에 비한다면 사실 지엽적인 글에 불과합니다.

자금 관리에 대한 개념이 없다면 지금 내용은 전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이미 귀에 못이 서너번 박히신데다가 이제는 하도 들어서 짜

증이 날 정도일 걸로 생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못을 한 번 더 박고, 짜증을 한 번 더 유발하고 시작하겠습니다...한 번 더

박혔다는 가정하에 시작하겠습니다. 이 글은 제가 주차연에 포스팅을 하는 한 계속 앞에서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여러분 혹시 매매를 하시다 보면, 분명히 수익 난 종목이 손실난 종목보다 훨씬 많은데 수익이나 이익을 실현하고 나면 항상 손해

만 보지는 않으신가요?

 분할 매수 정말 철저하게 하는데 어쩌다 보니 물타기 비슷하게 되어서 막상 이 놈 가지고 손절하다보니 손절액이 너무 커지지는 

않으신가요?

분할매수랑 물타기가 정확하게 구분이 안 가시나요?

비중 조절에 대한 개념은 뭔지도 잘 모르신가요?

만일 여러분이 이러시다면, 여러분의 매매 기술과 무관하게 여러분은 절대 주식으로 용돈조차 안정적으로 벌 수 없습니다.

이런 개념이 없으시거나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으셨는데 만일 돈을 버신다면,

그건 장이 좋아서 그렇거나 아니면 단지 운이 좋아서 일시적으로 돈을 번 것에 불과합니다. 

이런 부분은 사실 제가 그동안 조금씩 언급했던 내용인데, 오늘은 좀 더 자세하게 실제적인 예를 들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제가 주로 써먹는 방법은 전에도 잠깐 언급했다시피, 전일 상한가를 치거나 강한 양봉이 나온 강한 종목을 일단 고른 상태에서,

다음날 이후 3일선 - 10일선 사이에서 분할 매수하여 10-20% 수익을 달성하면 빠져 나오는 방법입니다. 

손절은 당일 종가가 아래꼬리 없는 장대 음봉으로 10일선을 하회하는 경우로 정하였습니다. 

여러분은 이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빠져 나오는 기준을 10일선으로 해야 성공확률이 높으냐, 5일선으로 해야 하냐, 3일선과 5일선에서 분할 매수를 해야 하냐, 아니

면 5일선과 7일선에서 해야 하냐? 어느 조합이 가장 확률이 높으냐? 

혹시 이런 생각을 하고 계시지는 않으신가요?

여러분이 이런 생각을 하시고 계시다면, 아직도 완벽한 전략을 통해서 주식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말도 안되는 착각에서 벗어나

지 못하신 분입니다. 

3일선에서 분할 매수를 걸든 5일선에서 걸든 7일선에서 하든 이런 건 그냥 그 때 그 때 알아서 하시면 됩니다.

나름대로 기준을 정하시면 된다는 거죠. 자꾸 고민하시는게 어느 방법이 가장 최고인가가지고 고민하시는데...최고의 방법은

없습니다. 여러분이 진짜로 고민해야 하는 것은 3일선, 5일선에서 분할매수를 하든 아니면 5일선, 10일선에서 하든 4일선, 8일선

에서 하든 3일선 7일선에서 하든.....여러분이 나름대로 기준을 정했을 때, 그 분할 매수에 의한 매매법이 '돈을 버는 구조'를 유지

하느냐 아니냐 하는 것입니다. 

한 번 따져 봅시다.

자..오늘 A라는 종목이 상한가로 마무리했습니다. 가만히 살펴보니 동전주도 아니고 거래량 뿐만 아니라 거래대금도 아주 많았고,

차트 모양도 예쁘고, 고가권도 아니고 저가권에서 쌍바닥을 찍고 올라오는 초기 종목이라고 칩시다...그래서, 요놈을 일단 내일

매매 대상으로 삼았다고 칩시다. 

다음날이 되었습니다. 분위기를 보아하니 시가가 4% 갭상으로 시작했습니다. 

일단 나의 전략은 3일선과 5일선에서 분할 매수를 하는 것인데, 일단 현재 상황으로 봐서는 3일선은 저기 지하 2층이고 5일선은

지하 6층에 있습니다. 

자 이놈이 과연 3일선에 닿을까요? 3일선까지 내려오면 5일선까지 내려올까요? 

이런 고민은 바보 같은 고민이죠? 그건 아무도 모릅니다. 

3일선이나 5일선에 닿을지는 모르지만 일단은 미리 매수를 걸어두면 되겠죠. 날아가면 어쩔수 없고, 안 날아가면 잡는 거고...

그런데 말이죠...이 놈이 분위기를 보아하니 급등주의 냄새가 폴폴 난다고 칩시다. 

급등주 같은 경우 다음날 갭상으로 시작해서 음봉을 형성 안하고 바로 연상을 치거나 짧은 아래꼬리를 만들면서 양봉으로 마무리

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의미에서 본다면 아래꼬리를 잡는 방법이 안전한 방법이긴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 본다면 날아갈 놈을 그냥 멀뚱

멀뚱 쳐다보는 격으로 끝날 수도 있다는 얘기죠.

여러분...이런 상황 흔히 보지 않습니까?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어떤 충동을 느낍니까?

네...추격매수의 충동을 느끼시죠?

그렇다면 추격매수를 해야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추격매수를 하면 안된다고 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추격 매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날아갈 것 같은 종목을 쳐다보며 이를 악물고 금욕적인 매매를 안 해도 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추격 매수를 해도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얘깁니다...

여러분이 이런 개념을 생소하게 느끼신다면 분할 매수의 간격과 비중에 대해서 별로 고민을 안하시고 기법 자체에만 목을 매다셔

서 그렇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한 종목 가지고 매수할 때 분할 매수를 4번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2번하기도 합니다. 

분할 매수를 4번씩이나 한다? 너무 자주 하는 건 아니냐고요?

아까의 예를 보겠습니다. 

전일 상한가를 친 종목인데, 이놈이 4% 갭상으로 시작했다면 어떤 가능성을 생각해봐야 하겠습니까?

와...갭상이다 이놈 오늘 상한가 가겠구나...더 오르기 전에 몰빵하자....라고 생각하시겠습니까?

여러분...여러분이 샀을 때가 저점일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생각을 버리십시오.

아무리 쌍바닥 패턴을 보이고, 분봉상 탄탄한 지지 라인을 구축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몰빵하는 습관은 버려야 합니다. 

쌍바닥 패턴을 보이는 척하다가 다시 지지선을 깨고 지하로 내려가는 일 비일비재합니다. 

차트를 무시하라는 얘기가 아니고, 그런 신호를 보고 신중하게 들어가되, 그것도 결코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절대로 맹신해서

몰빵하거나 비중조절을 마음대로 하지 말라는 얘깁니다. 자꾸 그렇게 하다보면 계속 말립니다. 

위의 상황에서는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첫째는 짧은 아래꼬리를 만들면서 양봉으로 마무리하는 경우고, 두번째 경우는 음봉으로 마무리 하는 경우입니다. 

여러분이 마우스를 쥔 상황에서 전자의 경우로 마무리할지 후자의 경우로 마무리할지 모른다면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물론 전자의 경우는 포기하고 후자의 경우만 노린다면 3일선, 5일선에 걸어두면 됩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도 노리면서 후자의 경우까지 먹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하겠습니까?

네...간단합니다. 4% 갭상으로 시작한 그 시점 내지는 그 부근이 여러분이 보시기에 저점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그 때 사면 됩니다

아니...저점과 고점의 기준도 없이 그냥 내 생각대로 무턱대로 사라니 이게 말이나 되는 소리냐?

물론 시가가 10% 갭상으로 시작했다면 이건 고점일 수가 있겠죠..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지금 시점이 저점인지 고점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아니 아무도 모르는게 아니고, 알 수 없는 게 정답입니

다.

30층 아파트 높이가 높습니까? 낮습니까? 여기에 답이 있습니까? 

여러분이 15층에 있다면 높은 것이고, 60층에 있으면 낮은 것입니다. 주가도 똑같습니다. 지금이 엄청 높아보여도 내가 산 다음

에 주가가 올라가면 나는 저가에 산 것이고, 내가 생각하기에 여기가 진짜 바닥이라고 생각했는데, 더 떨어지면 고점에서 산거죠.

고점과 저점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애석하게도 아무 것도 없습니다. 기술적 지표도 다 똑같습니다. 고점과 저점이었다는 것은

결국 다 지나고 난 이후의 차트 가지고 떠들어대는 것에 불과합니다. 

고점과 저점이라는 것의 기준이 없다면 도대체 어떻게 저점에서 사고 고점에서 팔아야 할까요?

선문답하는 것 같지만, 아주 간단한 해답이 있습니다. 

그것은 고점과 저점을 여러분이 정의해버리면 됩니다. ㅋㅋㅋㅋ

여러분이 어떤 종목을 매매할 때의 최저점은 어딘지 알려드릴까요? 

그곳은 손절선입니다. 

여러분이 손절선을 정해 놓는 순간 그 지점이 바로 최저점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이평선을 이용한 지표를 쓰건, 분봉상 의미있는 저항대를 선정하건 어떤 기준에 의해서건, 

매매를 시작할 때는 얼마나 먹을까부터 생각하지 마시고 언제 손절할 것인가부터 최우선적으로 정하셔야 합니다. 

이 지점을 정해놔야 비로소 어디가 상대적으로 저점이고, 상대적으로 고점인지가 훤히 들어오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손절선 부근에 가까울수록 많은 금액을, 손절선에서 멀수록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을 베팅해야 하는 것이죠. 

손절선에서 먼 부분이 바로 고점입니다. 

고점과 저점이라는 것은 결국 어떤 개념입니까? 네...그렇습니다..상대적인 개념입니다. 

여러분이 A라는 가격에서 매수를 했다고 치면, 이 순간에는 이 매수 시점이 고점인지 저점인지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단순히 여기가 저점일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한번에 몰빵을 하면 이게 얼마나 바보같은 짓입니까? 

여러분이 매수한 이후 가격이 떨어지면, 여러분은 애석하게도 고점에 매수를 한 상태가 되어버립니다. 

그렇다면, 이 한 번의 실수를 취소하지 않고도 저점에 매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분할 매수입니다. 

분할 매수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분할 매수의 간격과 분할 매수의 비중입니다. 

분할 매수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물타기의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분할 매수와 물타기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소위 물타기라는 것은, 일단 자금 관리에 대한 개념이 없습니다.

내 총 자금이 지금 100만원인데, 나는 물타기를 다섯번 하겠다라고 생각하고,

일단 처음에 20만원어치 사고,

3% 떨어지면 또 20만원 추불하고,

거기서 3% 떨어지면 또 20 추불하고,

또 떨어지면 20 추불하고...

분위기 보아하니 여기까지 추불했더니 차트상 저점을 올리는 쌍바닥 신호가 나오면서 상승을 해서 여기가 진짜 바닥이구나

라는 생각으로 나머지는 그냥 몰빵하는 식..이게 바로 무개념 물타기입니다. 

무개념 물타기는 투입 금액에 대한 개념 조차도 없습니다. 

제대로 된 분할 매수는 아무리 손실이 나도 최종 손절선에 닿으면 더이상의 추불은 하지 않습니다. 

또한 최대 가능 추불 금액을 일차 매수시에 이미 정하고 들어갑니다. 

하지만, 무개념 물타기는 한 번 투입할 때 얼마를 투입할 지에 대한 개념조차 없고, 그냥 떨어지면 막연하게 오르겠지하고 

계속 투입합니다. 언젠가는 물타기, 추불을 멈춰야 할 때가 있고 기준이 있어야 하는데, 이런 경우 유일한 기준의 그냥 '내 기분'입

니다.

하지만, 치밀한 분할 매수는 최종 분할 매수 이후 손절을 해서 손해가 크게 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추가적인 자금의 투입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다음 번에 동일한 경우가 발생해도 그 정도 이상의 손해가 나는 경우는 없게, 즉, 최대 손실은 한정이 되고,

또한, 최대자금투입 이후 반등이 생기는 경우도 당연히 있기 때문에 수익이 나는 구조가 유지가 되는 것입니다.  

무개념 물타기는 '최악의 경우에 대한 자금투입과 손실에 명확하고도 구체적인 대한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분할 매수와 차이가 

납니다.  

이런 무개념 물타기를 하면 어떻게 됩니까?

차트상의 저점 신호...나름대로의 경험에 의한 안목에 의한 베팅...무슨 의미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만....이런 매매방식의 위험성은

만일 이러한 매매가 성공하면 돈을 벌지만, 실패하면 큰 손실을 보게 된다는 것이죠.

주식 매매에 있어서 철칙은 큰 돈을 버는게 아니고 큰 손실을 막는 것이라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여러분의 매매 구조가 큰 돈을

벌기 위해서 큰 손실을 볼 가능성을 용인하는 구조라면 평생 삽질만 하게 됩니다.

제대로 된 분할 매수는 예를 들자면 이렇습니다.

내가 2% 룰에 따라 자금관리를 한다고 치면,

한 번 매매를 했을 때 최대로 볼 수 있는 손실액이 2만원으로 한정하게 되죠.

이 때 내가 총 4번 분할 매수를 한다고 칩시다. 

차트를 보아하니, 이 종목의 하루 평균 등락폭이 15-20% 정도라고 칩시다. 

그렇다면 내가 세력의 휘둘림에 당하지 않고 추격 매수의 위험성까지도 감당하면서 저점까지 잡기 위해서는 적어도 15-20%의

흔들기에 손절을 안하고 꿋꿋이 매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깁니다. 
 
그래야 내가 1차 매수한 지점이 최고점이고 바닥까지 찍고 반등을 해도 손절을 안 할 수가 있겠죠.

그렇다면, 분할 매수 간격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뭐..여기에는 답이 없습니다만,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 합니다. 처음 매수한 이후 -5%에서 일차 추불, -10%선에서 이차 추불, -15%선에서 3차 추불...

이런 식이죠.

만일 등락폭이 더 크다면 -5%를 단위로 안하고 -6-7%를 단위로 추불할 수도 있겠죠...

여러분...차트를 한 번 보십시오..여러분이 만일 세력주를 가지고 매매를 하면, 한번 흔들어 제끼는 폭이 20% 넘나드는 놈이 허다

합니다. 

헉...정말? 이런 생각을 오늘 처음하셨다면 그동안 얼마나 위험하게 무식하게 매매를 했단 말입니까?

한 번 흔들어제끼는 폭이 20%를 넘나드는데,

완전히 아래에서 받쳐서 매수도 못하면서 그냥 처음 매수한 이후 5% 떨어지면 그냥 막연히 많이 떨어졌겠지..하고 나머지 

금액을 기쁜 마음으로 추불하고...손절선은 10%로 잡으니...손절만 꼬박꼬박할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분이 어떤 종목을 매매하실 때, 눌림목이건, 추세 추종이건 아래꼬리잡기건...

분할 매수를 할 생각이 있으시다면, 일봉 고가와 저가의 등락폭 차이가 대충 어느 정도 되는지 한 번이라도 제발 확인하고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진짜 지대로 흔들어제끼는 놈은 하루 등락폭이 30% 가까이 되는 놈도 있죠? 상한가부터 하한가까지 왔다갔다 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모든 종목이 다 20%씩 흔들어 제끼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주식을 할 때 최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최악의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것입니다. 

내가 사면 몇 % 오를까 라는 그런 고민 말고, 내가 산 이후 얼마나 더 떨어질 수 있을까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을 해야 하고,

정확한 답을 알 수 없는 그런 고민에 대해서 그나마 조금이라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최근 며칠간의 차트입니다. 

그걸 보시면 평균적으로 얼마나 흔들어 제끼고, 내가 산 타이밍이 저점이 아니라면, 또, 내가 지금 들어간 부분이 약간의 추격

매수성이 있는 지점이었다고 생각하면 어떻게 추불 간격을 정하고 추불 횟수를 정할지에 대해서 미리 계획을 세워둘수가 있고,

흔들어 제껴도 미리 다 생각해 두었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죠. 

만일 4회에 걸쳐 분할 매수를 했는데, 반등이 없이 최악의 경우 4회까지 분할 매수를 다 하는 경우, 대략 5% 간격으로 동일 금액

으로 매수한다고 치면, 대략 -7.5% 손해가 나게 되는데, -10%를 최종 손절선을 잡는 경우, -10%가 2만원이어야 하므로,

총 투입 금액은 20만원이 되어야 하겠죠..그렇다면, 한 번에 투입할 때는 5만원씩 투입을 해야 최악의 상황에도 2% 이상 손해를 

보는 일은 없게 됩니다. 

아까 무개념 물타기와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무개념 물타기는 이런 자금 관리에 대한 개념이 없습니다. 

떨어지면 그냥 마음 내키는 대로 손실을 줄이려고 그냥 마음 편하게 물타기합니다...자금을 어떻게 분할할지 계획이 전혀 없습니

다.

여러분이 매수에 들어갈 때는 일차로 들어가도, 들어갈 당시에는 미리 4차 분할 매수까지의 계획과 손절 계획까지 다 짠 상태로

들어가야 합니다. 

또한, 일차로 매수를 했다면 최소한 2,3차 분할 매수 가격에는 미리 주문을 걸어둬야 합니다.

조금 더 떨어지면 분위기 봐서 추불하겠다고요? 

잘 되시던가요? 막상 떨어지면 무서워서 추불못하고...그러고 나서 올라오면 또 추격 추불하고...

또한 무개념 물타기는 등락폭에 대한 개념이 없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20%씩 흔들어 제끼는데 그냥 3% 떨어지고, 또 5% 떨어지

면, 손실을 메꾸고 싶은 생각에 그냥 막 추불합니다...내 실탄이 얼마나 떨어지는지는 생각도 못하고 말이죠..이 실탄 다 떨어졌

는데, 막상 적이 죽지 않고 내 코앞에 다가오면 내가 작살 난다는 사실을 망각한채 말이죠..

여러분...여러분의 똑똑한 경험과 노하우와 차트보는 안목으로 여기가 진짜 저점이라고 생각해도, 여러분이 정해놓은 2차 추불선

에 닿지 않은 상태라면, 추불하지 말아야 합니다. 설령, 그 지점이 나중에 진짜 저점으로 밝혀 진다고 해도 말이죠.

저점이라고 생각되는 지점에서 잡는다고 생각한다면, 이때는 추불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고, 비중을 조절해야 하는 것입니다. 

약간 높은지점에서 3:4:5:6 식으로 매수를 건다고 치면, 이 부분이 저점부근이라고 치면, 3부터 들어갈 것이 아니고, 8을 투입하고,

더 떨어지면 10을 투입하는 식으로 말이죠...분할 매수 4번 할 것을 2번으로 줄임으로써 비중을 조절해서 전체적인 틀을 흐뜨리지

않으면서도 저점에서 상대적으로 큰 금액을 투입하는 효과를 노릴 수 있습니다. 

나름 저점을 잘 잡는 것 같은데, 이상하게 계좌는 자꾸 마이너스가 나고, 10종목 중에서 9종목은 빨간불인데, 마지막에 다 정리하

고 나면 한 놈 실패한 것 때문에 손실을 보는 주범이 여기에 있습니다. 

여러분이 단 한 종목 가지고 매매를 하건 여러 종목을 가지고 매매를 하건, 

동일한 기준에 의해서 매매를 해야 손실이 나도 일정하게 나고, 수익이 나도 일정하게 나지,

그냥 내가 보기에 저점 같으니까 여러분의 기준에 의하면 추불 타이밍이 아닌데 한 번 들어가 보자...성공하면 물론 돈을 벌겠지만

실패하면 또 시간 낭비 돈 낭비한 것이 됩니다. 
 
올라가 주면 다행이지만, 만일 쌍바닥을 찍는 척하다가 떨어지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원래 -15%선에서 마지막 추불을 해야하는

실탄이었는데, 아까 써버렸으니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걍 손절할까요? 아니면, 그냥 이번 한 번만 눈 딱감고 계좌에서 돈 좀 더 인

출해서 한 번만 더 추불해 볼까요?

뭐...좋습니다...그래서 성공했다면 다행이지만 실패하면 또 어떻게 됩니까?

엄청나게 물타기한 놈...손해는 손해대로 크게 보고. 이놈 하나 때문에 빨간 계좌들 수익 다 갉아먹에 됩니다.

이제 문제점이 보이시나요? 

추불할 때 마음이 편해서는 절대 안됩니다. 

함부로 추불해서도 안되고, 반드시 의미 있게 낮은 가격대를 미리 정해 두고 나서 그 가격대에 도달했을 때에만 

분할 매수를 해야 합니다. 단순히 그냥 좀 떨어졌으니까 오를 것 같아서 추불하면, 다음에 더 떨어지면 추불을 못하거나, 자금

관리규칙을 어긴 물타기를 하게 됩니다. 

고점과 저점이라는 것은 여러분이 정해 놓는 것입니다. 조작적 정의란 말입니다. 

쌍바닥 찍고 올라간다고 칩시다. 어디까지 올라가면 또 고점일까요? 

어디까지 떨어지면 또 저점일까요?

차트를 보는 기술 끊임 없이 익혀야 하고, 그거 자꾸보다 보면 확실히 실력이 늡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불완전한 기술이 이런 거시적인 구조를 왜곡해서는 절대 안됩니다. 

적게 돈을 버는 것은 실패한 것이 아닙니다. 돈을 많이 잃는 것이 실패한 것입니다. 이 개념이 머리에 완전히 박혀 있어야 합니다. 

자꾸 돈을 많이 벌려는 마인드가 원칙을 흐뜨리고, 이번 한 번은 괜찮겠지라는 생각, 내 매매기술로 시장을 예측할 수 있다는

생각이 이런 끊임없는 삽질을 반복하게 만듭니다. 

여러분이 분할 간격에 대한 개념과 자금관리 구조에 대한 개념이 없이 그냥 무턱대고 3일선, 5일선에 닿으면 분할 매수 한다라고

생각을 한다면,

만일, 상한가 이후 며칠간 횡보를 계속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3일선과, 5일선의 이격이 거의 없어지게 되고, 현재가와

차이도 별로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겠죠?

이 상황에서 무턱대고 3일선, 5일선에서 매수한다고 했으니 여기서 또 이중으로 매수를 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냥 비슷한 가격대에서 두번 몰빵을 한 것과 비슷한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종목에서는 의미있게 낮은 가격대에서 분할 매수를 하는데, 이 종목에서는 그냥 동일한 가격에서 몰빵 미스무리하

게 한 것처럼 되어서 서로 다른 기준에 의해서 매매를 하게 되는 것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급등주에서 3일선과 5일선에서 분할 매수를 하라는 얘기는 대부분 3일선과 5일선과의 이격이 큰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가격대에

걸어두면 충분히 낮은 가격대에서 분할매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얘기를 하는 것입니다. 

주가와 이평선 사이의 이격이 작은 상황이면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5일선이 아니고 7일선 10일선을 기준으로 저가에 분할

매수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겠고, 그렇지 않다면 다른 방법으로는 그냥 등락폭을 기준으로 1차 매수가보다는 5-7% 낮은

가격대에서 주문한다..등의 나름대로의 기준을 정할 수가 있는 것이죠.

어떤 분은 자꾸 제가 기법을 얘기 안한다고 하는데, 이게 기법이 아니고 무엇입니까? 저는 이해가 안갑니다....

자금관리와 분할매수, 손절...이게 곧 기법입니다...그 간격을 정하고 언제 들어가고 나올지를 정하는 것이 종목에 따라, 개인의 

매매 방식에 따라 스타일에 따라 수억만 가지가 되기 때문에 고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마법의 공식을 찾으려고 하는 분이 계신데, 기법이라는 것도 가만히 따져보면, '대략' 몇 % 선에서 분할 매수한다. 대략

이평선 며칠에서 며칠 사이에서 분할 매수하고, 분위기 봐서 안좋으면 빠져나간다...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인 것 같지만, 사실은 다분히 유동적이고, 사실 이럴 수 밖에 없습니다. 주식 시장이 그만큼 가변적이기 때문이죠.

소위 기법서들 다시 한번 뜯어보시죠...칼같은 선을 제시해 놓은 기법서는 별로 없습니다..대략 어느 정도 선이죠..

분할 매수의 비중 또한 중요합니다. 

4차까지 분할 매수를 한다고 쳤을 때,

여러분이 1차에 들어가는 가격대가 약간의 추격 매수성 매수 타이밍이라고 생각한다면, 당연히 들어갈 금액을 줄여야 합니다.

주식이라는 것은 결국 싼 가격에서 가장 많이 사야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즉, 오리지날 원칙이 상한가 이후 3일선과 5일선에서 분할 매수하는 것인데, 너무 잡고 싶어서 한 번 1차로 한번 찔러보고 싶은

충동을 억제할 수 없다면, 

분할 매수를 어떤식으로 해야 하겠습니까?

4차까지 총 20만원을 투입한다고 치면,

저 같은 경우에는 3:4:5:6 이런식으로 5-6% 간격으로 추불하겠습니다. 

즉, 1차 매수 때에는 3만원만 들어가고...2차에는 4만원 이런 식이죠..

만일 3일선과 5일선부터 잡겠다고 친다면, 이에 해당하는 부분이 5%, 10% 떨어진 부근이라면, 이때에는 처음부터 3만원을 넣는 

것이 아니고, 4만원, 5만원부터 시작해야겠죠...왜냐하면, 여러분이 정해 놓은 기준에서 상대적인 저점에 가까운 부분이기 때문이

죠.

분할 매수에 대한 가장 큰 오해 중의 하나는,

결국 낮은 가격대에 큰 금액을 베팅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최종 분할까지 끝나고 손절을 하는 경우 손실액이 큰 반면, 1차 매수가격 이후 날아가면, 이익은 적은 것 아니냐라는 오해입니다.  

무엇을 착각한 것입니까?

1차 매수는 1차매수끼리 비교해야 하고, 4차까지 분할이 끝난 경우는 4차까지 분할이 끝난 놈끼리 비교를 해야 합니다. 

만일 4차 분할까지 끝난 놈끼리 비교를 했는데, 10번 중 8번은 손절로 끝났다고 하면 문제가 있는 것이지만, 

이놈들끼리 비교를 했는데, 10번 중 6번은 이익을 냈다고 치면, 이것은 할만한 매매가 됩니다. 

초등학생하고 대학생을 비교하려고 하지 마십시오...오류에 빠지게 됩니다. 

여러분이 그 어떤 기법을 쓰시건 간에,

분할 매수의 간격과 비중, 손절선, 투입액을 결정하는 것은 처음 매수할 마우스를 클릭하기 이전에 이미 다 결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 다음부터는 그냥 여러분이 정해놓은 기계적인 규칙과 기법에 따를 뿐입니다.

미리 계획을 짜놓지 않고 그냥 막연히 떨어지면 추불하고...

얼마를 추불할지도 정해놓지 않고..어떤 종목은 그냥 조금 추불하고 어떤 놈은 많이 떨어졌으니 많이 추불하고...

여러분...기법과 자금관리를 자꾸 분리하려고 하지 마십시오. 자금관리의 개념없이 기법을 생각할 수 없고, 올바른 기법이라면,

제대로 된 자금 관리의 원칙에 따라 분할 매수와 손절, 익절의 개념이 녹아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고 하죠..

기법은 기법이요, 자금관리는 자금관리일까요?

기법은 자금관리요, 자금관리는 기법이어야 합니다. 

복잡해보이시나요?

한 두 시간 정도만 고민하고 내일부터 철저하게 미리 치밀하게 계산하고 들어가보시기 바랍니다. 

며칠만 해보시면 아...왜 내가 그동안 기법은 나름대로 잘쓴다고 했는데, 한 놈한테 그렇게 징하게 당하고, 벌 때는 찔끔찔끔
 
벌었는지 감이 오실 겁니다. 

그래도 정리가 안된다...그래도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하신다면, 마음이 편하게 매매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팁을 하나 알려드리

겠습니다. 

여러분이 저점을 잘 잡지도 못하시고, 처음 매수하신 이후 불안하시거나, 내가 산 이후에는 꼭 떨어진다는 마이너스의 손이시라

면,

처음에 매수할 금액을 지금 하시는 매수 금액의 절반으로 줄이시고 내일부터 매수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마음이 무쟈게 편해지실 겁니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은 반드시...반드시....처음 매수가보다 의미 있게 낮은 가격대에..2-3% 낮은 이런 분할 매수하나마나한 가격

대 말고요...의미있는 하단 이평선대라든지 아니면, 5-10% 낮은 가격대라든지..등 나름대로의 기준을 정하시고, 1차 매수시에 2차 

매수가격 까지 반드시  '미리' 걸어두시기 바랍니다. 

떨어지는 거 보고, 분위기봐서 걸지 마시고...어차피 그런 분들은 새가슴이라 추불해야될 때 추불도 못합니다. 또한 급락이 왔을

때 그 때 잡으려고 하면 잠깐 찍고 다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잡지도 못합니다. 또 여러 종목을 매매하신다면, 실시간으로

변하는 모든 종목의 지수를 실시간으로 떨어지는 거 모니터링하면서 눈알 빠지는 게 쳐다보는 것도 사람이 할 짓이 못됩니다. 

걍 걸어두십시오...

아...괜찮을 것 같긴한데...그러면 처음에 사자마자 날아가 버리면..절반만 투자하면 돈을 많이 못버는 것 아니냐?

아직까지 정신 못차리셨나요? 많이 못버는 게 중요한 게 아니고, 많이 잃지 않는게 중요하다니까요!!!!!!!

그리고...마이너스의 손이신 분이 왜 그런 쓸데 없는 걱정을 합니까? 사기만 하면 맨날 떨어지면서...ㅎㅎㅎㅎ

절대 처음에 너무 많은 금액을 투입하지 마십시오...분할 매수의 기본은 처음에 조금 들어가는 것입니다.

아래에 그냥 낚시하듯이 걸어두십시오...걸리게 되어 있습니다. 일중에도 지수도 오르락 내리락하고, 주가도 오르락 내리락합니

다. 자꾸 한 큐에 끝내려고 하니 맨날 손절만 하는 것이죠...한 큐에 끝내지 마시고, 찔끔찔끔 서너큐에 끝내려고 해보십시오.

덜 불안하고, 여유있게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 확실히 마음이 편해지실 겁니다. 

정신이 번쩍 드십니까? 
 


오늘도 일단 강조하고 시작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자금관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또 강조합니다..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금관리'입니다. 그 어떤 극강의 매매 기법이나 잡기술도 '자금관리' 보다 절대 중요할 수는 없습니다.

혹시, 제 글을 처음 보신다면 이 글은 안보시더라도 반드시 http://cafe.naver.com/stockschart/590350?글은 보셔야 합니다..

이 글은 '자금관리'에 비한다면 사실 지엽적인 글에 불과합니다.

자금 관리에 대한 개념이 없다면 지금 내용은 전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이미 귀에 못이 서너번 박히신데다가 이제는 하도 들어서 짜

증이 날 정도일 걸로 생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못을 한 번 더 박고, 짜증을 한 번 더 유발하고 시작하겠습니다...한 번 더

박혔다는 가정하에 시작하겠습니다. 이 글은 제가 주차연에 포스팅을 하는 한 계속 앞에서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오랜만에 글을 남기는군요..제가 개인적으로 이번 한달동안 바쁜 일이 있었는데 무사히 마무리가 되어 앞으로 몇 주 동안은 여유

가 좀 생긴것 같습니다. 

원래 저번에 매수 주체 분석에 대해 글을 올리려고 했었는데, 문득 그것보다 훨씬 더 무지막지하게, 대단히 대단히 중요하면

서도 실제로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전혀 관심조차 없는 그런 개념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해야겠다 는 생각이 들어서 오늘

은 이 부분에 대해서 언급하려고 합니다. 

오늘 말씀드릴 내용도 항상 그래왔듯이 '두리뭉실하고 뻔한 내용'입니다. 여러분도 익히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어본 내용입니다..

제 글이 워낙 길다보니 대놓고 짜증을 내시는 분들도 계셔서 아예 이제는 주제까지 미리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주제는 '익절','등락','시간','효율','회전율' 입니다.

여러분...지금 hts 상에서 여러분의 실시간 잔고는 빨간색입니까? 파란색입니까?

제가 여러분의 실시간 잔고를 훤히 꿰뚫어 볼수는 없지만,

여러분의 실시간 잔고가 지수 변동에 따라 등락을 거듭하고 그에 따라 계좌의 색깔이 붉으락 푸르락 요동칠 때 지금 제 글을 보시

는 상당수의 분들이 느끼는 심리 상태와 이러한 변화에 따른 매매 행태는 훤히 꿰뚫어 볼 수 있습니다..

'아니..이런 시건방진 놈을 봤나? 니까짓게 뭔데? 훤히 꿰뚫어본다고 난리야?'

그럼 한 번 맞춰보겠습니다. 

첫째,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좌 색깔이 빨간색일 때 기분이 좋고, 파란색일 때 기분이 나쁩니다.

둘째, 계좌 색깔이 빨간색일 때는 사려고 하고 파란색일 때는 팔려고 합니다.

셋째, 계좌 색깔이 빨간색일 때는 팔려고 하지 않고, 계좌 색깔이 파란색일 때는 사려고 하지 않습니다. 

넷째, 특히 계좌색깔이 장초반 빨간색이었다가 장중 하락에 의해 파란색으로 바뀔 때, 두번째와 세번째 경향은 더욱 강해집니다.

즉, 장초반 상승해서 수익이 난 상태였다가 하락해서 본전 내지는 손실로 떨어지면 버티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얘깁니다.

생초보가 아니면, 손절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줄기차게 열심히 손절만 했더니 살림살이 나아지셨습니까?

무의미한 손절이 아닌, 의미 있는 손절만 제대로 했다고 칩시다...그래서 살림살이 나아지셨습니까?

의미 있는 손절 뿐만이 아닌, 자금관리와 분할 매수까지 철저히 해서 손절까지 했는데도 살림살이 나아지셨습니까?

여러분이 아무리 자금관리를 철저히 하고 분할 매수를 철저히 하고, 손절선을 계획적으로 잡는다 할지라도,

무조건 손절만 해서는 절대로 돈을 벌 수가 없습니다.

왜냐? 이건 세살짜리 꼬마한테 물어보십시오..

손절은 뭐 더 큰 손실을 방지한다 어쩐다 해봐야 어쨌거나 손절을 하면 그 자체는 일단 '손해'이고, 계좌는 파란색으로 바뀌는

행위이기 때문이죠.

손절을 안하는 것은 자살행위지만, 손절만 하는 것도 자살행위입니다.

주식 책좀 보고 사이트 좀 들락거린 사람은 손절을 안하는 건 자살행위라는 걸 알고, 정말 열심히 손절을 하지만,

손절만 하는 것도 똑같은 자살행위라는 것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여러분이 손절만 정말 열심히 하는 것은, 바보짓입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할까요? 네...익절입니다.

손절을 안하고 익절만 하는 것도 자살행위입니다. 

손절만 하는 것도 자살행위요, 익절만 하는 것도 자살행위이고, 반드시...

반드시...반드시..반드시...손절과 익절을 모두 다 모두다 반드시 둘 다 하나도 빠짐없이 같이 해야 비로소 수익을 내

는 매매의구조가 확립되는 것입니다. 

익절을 해야 한다고 했더니 어떤 분이 이러시더군요....

'아...이런 초보를 봤나...수익의 기본은 손실은 줄이고, 이익은 늘리는 거다...즉, 손실은 짧게 끊고 이익이 나는 것은 끊지 말고, 

최대한 길게 늘려야 하는 거지 끊으면 안되는 거야 이 바보야...'

네...맞습니다...제가 그걸 모르겠습니까?

그런데 이 분이 간과한 게 있습니다. 

이익을 얼마나 늘리건 10%를 먹든, 100%를 먹든 간에,

언젠가는 이익은 실현해야 하는 거죠.

손실도 언젠가는 끊어야 하는 것처럼, 이익도 언젠가는 끊어줘야 합니다..반드시...그래야 통장에 돈이 들어오는 거죠...

'아,...이런 답답한 놈을 봤나...주식 시장에는 추세라는 것이 있어....우상향 하는 놈은 계속 우상향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언젠

가는 끊어줘야 하는 건 맞지만 최대한 늦춰줘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복리구조의 이점을 충분히 누릴 수 있어..자꾸 짧게 끊

어 주면, 복리의 이점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기 때문에 큰 돈을 못버는 거야..10%는 먹을 수 있어도 100%의 수익은 못내는 거야..

답답한 놈...어휴...수학도 모르는 놈'

이라고 자칭 고수라는 분 중에 분명히 이렇게 생각하실 분이 계실 겁니다..ㅋㅋㅋㅋ

제가 그걸 모르겠습니까?

이 말은 틀린 말도 아니지만, 맞는 말도 아닙니다. 

위의 생각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간과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후벼파 드리겠습니다...

첫째, 주식시장의 예측 불가능의 위험성을 간과했습니다.

둘째, 추세 지속성의 확률을 과대평가 했습니다. 

셋째, 매매 효율성을 무시했습니다. 

넷째,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는 속성을 무시했습니다.

다섯째, 자금관리에 의한 복리효과의 가능성에 대해 무지했습니다.

여섯째, 현금 보유의 중요성을 간과했습니다.

일곱째, 수익률에 있어서의 시간의 개념에 대해서는 아예 무개념 상태입니다. 

무슨 소린지 뜨끔하신가요?

여기에 대한 개념이 없으면 함부로 익절에 대해서 논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것에 대한 명확한 개념도 없이 그냥 어느 주식책에서 

줏어들은 거 가지고 '손실을 짧게,수익은 길게 하라고 했으니까 익절하는 것에 대해서 왜 수익을 끊는 바보같은 짓을 하냐' 라고 

따지지 말아야 합니다. 

지금 당장 hts를 켜십시오..

잡주건 코스피 우량주건 여러분이 매매하는 종목의 차트를 살펴보십시오. 

주가가 어떻게 움직입니까?

제가 답을 알려드릴까요?

주가는 무조건 오르지 않습니다. 아무리 가파르게 올라도 '등락'을 거듭하며 움직입니다. 

오늘 상한가 친 종목, 내일도 연상, 모래도 점상을 치면서 올라갈 것 같습니까?

물론 그런 종목도 있지만, 절대 다수의 종목은 그렇지 않습니다. 

상한가 친 놈은 다음날 음봉을 형성하는 경우도 많고, 그 다음날 또 음봉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상한가 간놈 그 다음날 상한가 가도, 아래꼬리를 달고 올라가는 놈도 많습니다. 

즉, 주가는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움직인다는 말입니다.

너무나 뻔한 얘기 아닙니까? 

여러분 이런 생각 안해보셨습니까? 

'아...이 놈 내가 오늘 아래꼬리에서 잡고 위꼬리에서 팔았으면 수익이 하루에 15% 먹는건데..

그리고 또 다음날에도 아래꼬리에서 먹고 위꼬리에서 먹었으면 또 20% 먹고...

이틀 동안 그냥 보유만 했으면 수익이 10% 날 거, 이런 식으로 확실하게 저점에서만 잡아주고, 고점에서만 매도해주면, 단순히

종가기준으로만 10% 먹는게 아니고, 20-30%까지도 먹을 수 있는 건데...'

차트를 보십시오.

위꼬리와 아래꼬리가 없는 차트가 있습니까?

심지어 연상을 치며 올라가는 강력한 세력주 조차도 위꼬리와 아래꼬리는 언젠가 나타납니다. 

오늘 안나왔으면 내일 나오고, 내일 안나왔으면 모레라도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왜냐? 주가는 '등! 락!' 거듭하면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주가는 등등만으로 움직이는 주가도 없고, 락락만으로 움직이는 주가도

없습니다. 등과 락의 조합으로 움직입니다. 

최근에 제가 맛있게 먹어 치운 종목들 중에 메디포스트, 대국, 이화전기가 있습니다. 

최근 차트를 한 번 보시죠...

분명 가파르게 올라가는 놈인데도, 아래꼬리는 나옵니다. 오늘 안나오면 내일 나오고, 내일 안나오면 모레는 나오고,

모레 안나오면 그 다음날에는 나옵니다. 

단순히 그냥 보유하고 20-40%의 수익이 나면 빼겠다라고 생각한 것과,

일단 아래꼬리에서 매수를 해서, 10%의 수익이 나면 실현하고, 다음날에도 아래꼬리 부근에서 매수를 해서 또 10%의 수익이

나면 또 실현하고..이런 식으로 부분부분 구간마다 수익을 실현하는 경우를 한번 비교해 보십시오. 

만일 이런 종목이 점상을 치면서 올라가는 종목이라면, 당연히 수익을 짧게 실현하는게 바보짓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어떤 종목을 매수해 놓고, 이 놈이 내일 점상을 치면서 올라갈 게 너무 두려워서 오늘 충분히 15%라는 엄청난 

수익이 났는데도 수익을 실현하지 않고 내일까지 두고보겠다고 버티는 것은,

내가 어제 친구놈이랑 미친듯이 술을 마시고 떡이 되어 오후 2시에 일어나서 씻지도 않고 소개팅에 나갔는데, 김태희보다 2배 예

쁜 아가씨가 나와서 나에게 반해서 결혼하자고 하면 어쩌지? 하고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보다 조금 낮은 확률 갖고 고민하는 상황

입니다. 

여러분 정신 차리십시오.. 김태희는 lcd 모니터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 크롬상에서 존재하는 가상의 인물입니다. 

괜히 여러분이 잡은 종목 내일 부터 점상으로 날아갈까봐 고민하지 마십시오. 자뻑입니다. 

쓸데없이 의미있는 정도의 수익이 났는데 내일 더 올라갈까봐 두려워서 냅두지 말라는 얘깁니다.

물론 이 얘기가 내가 손절선을 5%로 잡았는데 오늘 2% 수익이 났기 때문에 무조건 수익을 확정지으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손절선과 익절선, 손익비에 대한 개념은 제가 이미 누차 자세히 설명드렸기 때문에 더이상 중복해서 말씀드리지는 않겠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나름대로 정한 '의미있는 정도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반드시 수익을 실현해 주셔야 합니다. 

수익을 확정지었는데 내일 오르면 어쩔거냐고요?

제가 묻겠습니다.

수익을 확정지었는데, 내일 오르면, 여러분이 손해를 봤습니까?

손해를 봤냐고요?

아닙니다..여러분은 이미 충분한 이익을 실현한 상태입니다. 

그럼...이 종목 좋은 종목이었는데, 바이바이 해버려서 너무 아깝다고 어쩔거냐고 또 따지시겠죠? 

제가 확실한 답을 가르쳐드릴까요?

또 들어가세요..그 종목으로...뭐가 문젭니까? 

아니 안 그렇습니까? 이익 실현하고 괜찮다 싶으면 또 들어가면 되지...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기 때문에...오늘 이익실현하고, 내일 날아간다하더라도 다음날이나 그 다음날에는 아래꼬리를 다는 날이

있죠..그 때 사라는 겁니다. 

뭐...이런 얘기하면 또 아래꼬리는 어떻게 잡냐..이런 질문을 하실텐데...

아래꼬리를 잡는 법은 없습니다. 다만 제가 개인적으로 쓰는 방법은 아주 가파르게 올라가는 놈을 선정해서,

시가를 기준으로 무조건 낮은 가격대에 분할 매수를 걸어두는 방법입니다. 보통 3일선-10일선 사이에 분할매수를 걸어둡니다.

여러분이 많이 알고 계시는 상감기법과 비슷한 방법입니다. 

오늘 날아가서 기회를 못잡아도 언젠가는 걸리게 되어 있죠. 그 때 먹는 겁니다. 기법에 대한 얘기가 핵심이 아니므로 넘어가겠습

니다. 

그러면 또 이런 바보같은 질문을 하실 분이 계십니다.

아니, 팔고 또 다시 들어갈 바에야 그냥 홀딩하지 왜 그런 바보같은 삽질을 하냐?

이 얼마나 바보같은 질문입니까?

내가 오늘 팔고 나서 내일 반드시 또 오른다는 보장이 있습니까?

이런 생각을 하는 분은 내가 사면 주가는 무조건 오른다...안오르면 이상하다라는 생각을 하는 분입니다. 

내일 주가가 오를지 떨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일단 오늘 수익이 의미있는 정도로 났으니 수익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자꾸 결과론적인 마인드에 빠지면 안됩니다..주가는 절대로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단 1초뒤도 1분뒤도, 내일도, 모레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오늘 팔았는데, 내일 하한가 가면 어제 판 것을 엄청 다행으로 생각하실 겁니다. 

이런 일은 비일비재합니다. 안 그렇습니까? 너무나 상식적이고 당연한 내용인데도, 버팁니다. 

일간 뿐만 아니라, 장중에도 주가는 등락을 거듭합니다. 

여러분이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이익실현선이 나오면 반드시 매도하셔야 합니다. 물론 이 이익실현선은 의미있게 길어야 합니다. 

부분매도를 하며 지켜보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일단 전매도를 권합니다. 왜냐하면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찬스는 그다지 쉽게

오지 않기 때문이죠. 전매도를 하면서 기술이 붙으시면 부분 매도의 기술도 익혀보십시오. 

제 실시가 계좌는 거의 대부분 파란색이거나 잠깐 동안만 빨간색입니다. 

저는 제 실시간 계좌가 시뻘건 빨간색으로 물드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습니다. 

물론 제가 말도 안되게 짧은 수익이 나기만 하면 바로 수익을 실현한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의미있는 정도로 충분히 큰 이익이

나면 실현한다는 얘깁니다. 

실시간 계좌가 빨간색으로 물드는 것을 용납하지 않으면, 대신 통장 잔고가 빨간색으로 물듭니다. 

실시간 계좌가 빨간색으로 물드는 데 취해 있다면, 그 색깔이 파란색으로 순간 변해버리면 남는 것은 후회 뿐입니다. 

아..그 때 팔았으면...이만큼 건지는 건데..

다시 그 때만큼의 빨간색 수익을 볼려면 뭐가 필요합니까? 네...시간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수익을 낼 수 있을 때 수익을 확정짓지 않으면 시간을 손해를 보는 것인데,

주식 시장에서 시간을 손해보는 것은 곧 돈을 손해보는 것입니다..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타이밍을, 더 큰 수익이 날 것 같아서 놓쳐버리면, 수익이 아니라 그 놈이 오히려 손절로

이어질 수도 있고, 이미 들인 시간과 공, 돈이 모두 허사가 됨을 의미합니다. 

돈을 날려버리는 것과 같단 말입니다!

여러분...여러분이 손해를 안보고 수익을 낼 수 있는 유일한 타이밍은 지금 실시간 잔고가 빨간색으로 물들었을 때라는 걸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수익이 나서 팔았는데 내일 오르면 어떻하냐..라는 바보같은 생각 좀 버리십시오.

오늘 수익이 나서 팔면, 내일 주가가 폭등하건 폭락하건 나는 어쨌거나 돈을 번 겁니다. 

오늘 수익이 났는데, 내일 또 오를 것 같아서 놔뒀는데, 내일 오르면 거 봐라...내가 간다고 하지 않았느냐? 

하겠습니까? 

그럼 만일 내일 떨어지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떨어지면 손해를 보게 되는데요?

즉, 수익이 났을 때 실현을 하게 되면, 내일 주가가 오르건 떨어지건 간에, 나는 무조건 이익을 본 것이지만,

수익이 났을 때 실현을 하지 못하면, 일단 내일 주가가 떨어지면 나는 손해를 본 것이고, 올라도 이익을 본게 아닙니다. 

으잉? 올라도 이익을 본게 아니라고? 이건 또 뭔소리냐고요?

이건 매매 마인드의 문제입니다. 

만일 내일 올랐다고 칩시다..

그러면 내일은 또 어떤 생각을 할까요? 

아 이놈은 내일 또 가게 되어 있어 또 버텨보자....이런 생각을 안하시나요?

그러다가 다음날 하한가 한방 맞으면 또 어떻게 됩니까?

아...띠바...그 때 팔 걸.....

그러면서 그 때 또 나옵니까?

그러면서 또 안나옵니다..또 오를 걸로 생각하기 때문이죠..

가만히 보면, 익절을 잘 안하는 사람은 손절도 잘 안하고, 언제 청산해야하는지의 개념도 없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손실을 줄이고 이익은 늘린다는 사탕발린 말로 포장을 하며 고수 행세를 하지만, 

사실은 무개념 매매로 수익이 날 때 그 때 그 때 확실히 이익을 실현하지 못하는 하수 중의 하수요, 무개념 매매 중의 무개념

매매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결국은 익절은 안하고 결국은 손절만 꼬박꼬박하게 됩니다. 

여러분, 의미있는 정도의 큰 수익이 나면, 반드시 수익을 실현해 줘야 합니다. 

여러분...손절만 할 거라면 주식하지 마십시오...완전 바보짓입니다. 자금 관리고 나발이고, 수익을 실현하지 못하는데 무슨

얼어죽을 놈의 주식입니까? 

익절에 대한 나름대로의 원칙이나 기준이 없으면, 설령 지금 100% 수익이 났다 할지라도, 이놈이 200%, 500% 갈거라고만 계속

기대를 하면서, 떨어져도 계속 버틸거 아닙니까?

그러다가 결국 먹은 거 다 토해내고 손절만 하고..이 무슨 삽질입니까? 

실시간 계좌 창에서 빨간색으로 물드는 걸 멍하니 감상만 하고 계시지 마십시오.

실시간 계좌 창에서 어느 정도 크게 두자리 수익이 나면 팔아치우십시오. 

실시간 계좌 창에서 지나치게 두자리 숫자로 손실이 나는 놈도 가만 두지 마십시오. 

너무 잘나가는 놈, 너무 못나가는 놈만 그냥 쳐내는 작업만 해도 수익률은 자동으로 관리가 되게 되어 있습니다. 

너무 잘나가는 놈...내일도 그렇게 잘나간다는 보장 없습니다. 

너무 못나가는 놈..내일도 그렇게 못나간다는 보장은 없지만, 그래도 이놈은 지금 내 계좌를 너무 심하게 깎아먹었기 때문에,

계좌의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서 잘라줘야 하는 것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강한 상승주를 대상으로 분할 매수 이후 손절선은 5-10%, 익절선은 10-20% 정도로 잡고 잘라내고 있습니다.

오늘 팔아치운 놈이 내일 갑자기 점상을 찍으면서 올라가는 경우 물론 있습니다.

배아프십니까?

뭐가 배가 아픕니까? 괜찮은 종목은 하루에도 수도 없이 쏟아지지 않습니까?

기회가 얼마나 많은데 그거 하나에 목숨을 겁니까? 

증권사 주최 수익률 대회에 보면 한 두달에 수백-수천% 수익을 낸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이 뭔지 아십니까?

그것은 바로 목표 수익률을 정해놓는다는 것입니다. 

목표 수익률에 도달하면 미련없이 이익을 실현하고, 

만일 매수 타이밍이 그 종목에서 또 나오면 또 다시 먹는 거고, 안나오면 딴 종목으로 가는 거고...이런 식입니다. 

짧게 끊어치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없다고 하는 것도 어불성설입니다. 

예를 들어 2% rule에 따라 자금관리를 한다고 쳤을 때,

전 재산이 100만원인 상태에서 10% 손절을 잡았다면, 투입금액은 20만원이 되겠죠...

이 때, 1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전재산은 110만원이 되는 것이고,

다음번 투입시에는 100만원이 아닌 110만원을 기준으로 더 큰 금액을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복리적인 효과도 계좌를 관리함으로써 더 큰 금액을 자연스럽게 투입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손해가 나면 자연히 더 적은 금액을 투입하게 됨으로써 리스크 관리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겁니다.

즉, 이익이 날때는 더 크게 먹으면서도 손해는 덜 보는 복리 베팅의 자금관리를 하면 이런 문제도 해결이 되는 것이죠. 

장타만이 답이라고 하는 것도 개인적으로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장타는 어떤 의미에서 본다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매매법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앞서 언급했다시피,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며 움직이기 때문에, 

오늘 시초가가 플러스로 출발했다 할지라도 시가보다 낮은 가격대에 걸어놔도 대부분의 경우 오늘 내일 내로 걸려들게 되어

있습니다.

일중 등락이 큰 폭으로 움직이는 테마주들은 단순히 길게 스윙을 할 수도 있지만, 구간 구간 큰 등락을 그 때 그 때

잘 먹어주면, 수익은 배로 나면서 오히려 훨씬 더 안전한 매매가 가능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기 때문

이죠..차트를 보세요...꼬리가 없는 주식은 없습니다. 설령 꼬리가 없는 놈도 틱차틑 보시면 장대 양봉으로 보이는 놈조차도

'등락'을 거듭하며 움직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추격매수에만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에 손절만 하게 되는 것이죠.

여러분...내가 지금 현재 가격에서 잡지 못한다면 영원히 잡지 못할거라는 말도 안되는 쓰잘데기 없는 걱정 좀하지 마십시오.

여러분이 잡고 싶은 오늘 그가격대...오늘 주가가 날아가면, 내일은 아래꼬리로 나타나게 되어 있습니다. 뭐..물론 안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만...이런 개념을 갖고 계시라는 겁니다..주가는 '등락'을 거듭합니다. 일중에도 등락하고 일간에도 등락합니다. 

따라서 낮은 가격에 살수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많이 있습니다. 쓸데없이 비싼 가격에 사려고 하지 마십시오.

그 종목 놓쳤다고 아쉬워 하지도 마십시오...지금 우리 주식 시장에 주식이 도대체 몇 개나 있는데 그거 하나 놓쳤다고 질질 

짭니까? 

제가 추세 추종형 매매를 강조하면서 비싼 가격에 사서 더 비싸게 팔라는 얘기를 이것과 혼동하지는 마십시오.

추세 추종형에서 비싼 가격에 사라는 의미는 강한 우상향을 보이는 놈을 사라는 얘기입니다. 

어느 정도의 익절선이 이상적이냐 하는 것은 여러분이 정하기에 달려 있습니다. 

지나치게 익절선을 타이트하게 짧게 잡으면, 매매기술이 좋고 효율이 좋으면 가장 큰 이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매매기술이 나쁘고 효율이 떨어지면, 완전 삽질만 할 수도 있습니다. 

익절선이 지나치게 길어도 매매 효율은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등락을 거듭할 때, 이미 수익이 어느 정도 난 상태인데

내가 설정한 익절선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다리다가 수익을 놓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 부분은 애초부터 정답이 없습니다...저 같은 경우 10%에서 끊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는 40% 까지 걍 먹기도 합니다. 

왜냐면 급등주 같은 경우 아래꼬리 조차 잘 안 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여러분이 이 놈 진짜 갈 놈인데 초기에 잡았다 싶으시

면 홀딩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책입니다...하지만, 무턱대고 오늘 수익이 났기 때문에 막연하게 홀딩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기회를 봐서 언제든지 빠져나온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계신 상태에서 이런 유연한 사고를 가지셔야 합니다. 

개념없이 회전율만 높으면 생돈 날리게 되지만, 치밀하게 계산을 하셔서 회전율을 높이시면 안전하면서도 큰 수익이 납니다. 

아....이거 그 때 팔걸....계속 쓸데 없이 이런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부터 습관, 훈련을 하십시오..팔아치우는 습관, 훈련을 하십시오.

손절도 훈련을 안하면 힘들지만, 익절도 훈련을 안하면 힘듭니다. 

왜냐하면, 손절, 익절 모두 인간의 본성에 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이죠.

손절과 익절 모두, 더 오를 것 같은 희망의 싹을 잘라내는 행위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어쩌겠습니까? 이런 인간의 본성을 극복하지 못하면, 영원히 주식시장에서 망하는 95%의 호구로 밖에 남을 수 없는걸..

실시간 잔고가 뻘건 걸 멍하니 지켜보고 감상만 하고 계시면,

당신이 돈을 벌 확률은 0% 입니다.

왜냐면, 뻘겋게 달아올랐던 놈이 파랗게 물들고 나서야 또 후회하게 될 것이고,

다음부턴 안그래야지 하면서도 

또 그 짓을 반복하게 되기 때문이죠...안 그런가요? 

오늘 이익을 실현했는데 내일 올랐다고 내 매매가 실패했다고 생각하신다면,

당신은 바보입니다. 

삼연상을 찍고 올라가도 어제 내 매매가 내 매매 구조상 의미 있는 정도의 이익을 실현한 상태에서 청산한

것이라면 대성공입니다.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면 끊임없이 삽질을 하게 됩니다.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뻔히 눈앞에 있었는데도 멍하니 보고 있었으면서,

막상 주가가 떨어지면 손절 안하고 버티다가 마지못해 큰 손실을 보고 청산하니...이러니 매매 구조가 이러니 어떻게 돈을

벌수가 있습니까? 계좌가 빨갈 때 수익을 실현 안하니 그 어떤 난리를 쳐도 돈이 벌립니까? 

설령 오늘 지수가 쫙쫙 빠져도 내 매수 사정권에 들어오면 매수를 해야 하고,

지수가 쫙쫙 올라도 내 매도 사정권에 들어오면 미련없이 매도를 해야 합니다. 

소위 이것이 절대 수익을 내는 기본입니다. 

고수들은 시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익을 내죠? 

원리가 여기 있습니다.

여러분이 내일 더 올라갈 것 같고, 아니면 지금 쫙쫙 떨어지기 때문에,

여러분에 매매 기법상 지금 팔아야 하고, 또 사야하는 타이밍임에도 불구하고 매매를 망설이게 되면,

결국은 지수에 의해 좌우되는 뇌동매매만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주가는 '등락'을 거듭하며 움직입니다.

등락을 거듭한다는 말은 지금 많이 올랐다고 내일도 오른다는 보장도 없고, 지금 많이 떨어졌다고 반드시 내일도 떨어진다는

보장도 없다는 얘깁니다. 

그래서, 적절하게 긴 선에서 익절을 해 줘야 하고, 적절하게 짧은 선에서 손절을 해줘야 하고, 익절과 손절의 비 등을 고려해

봐야하고, 대충 내가 이 매매를 하면 얼마나 성공률이 나오나도 따져 봐야 한다는 얘깁니다. 

익절을 안하겠다는 말은 다른 말로 얘기하면, 좀 과장하면, 나는 손해만 보겠소 라고 얘기하는 것과 같습니다. 

나는 손해만 보겠소..라고 얘기한 사람이 손해만 보는게 뭐가 이상합니까? 그래놓고 왜 나는 손해만 보지? 라고 의문을 가지는

게 얼마나 바보짓입니까? 

내일 주가가 오를지 내릴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런데, 내일 주가가 단순히 오를 것 같다...추세가 지속될 것 같다...따라서 좀 더 홀딩해 본다...

물론 추세는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문제는 이 놈이 언제 깨질지 모른다는 데에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에 여러분이, 그러한 추세에 편승해서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수익이 난 상태라면, 

이제는 이 놈의 추세가 언제 깨질지 모르기 때문에 이 때는 항상 매도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추세 추총을 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홀딩하라는 개념이 아닙니다....오해하시면 안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아무 의미 없고, 맞출 수도 없는 주가의 예측에 근거해서 자꾸 매매를 하게 되면, 이것은

논리적으로 '수익을 절대 낼 수 없는 구조로 원칙없는 매매'를 하게 되는 것이고, 

수익이 날 수 있는 구조적인 손절선과 익절선을 정한 상태에서 주가의 등락과 무관하게 원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손절과 익절을

하게 되면, 이것은 논리적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로 매매를 하게 되는 것이죠.

왜냐하면, 주가는 예측할 수 없다는 절대 진리를 기본적으로 인정하고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전자의 매매법은

기본적으로 전제 자체가 틀렸기 때문에 실패할 수 밖에 없는 매매법이라는 얘기입니다. 

여러분...신중하게 고민하셔서 손절선과 의미있게 긴 익절선을 정하시고,

그 다음 부터는 아무 것도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않고 기계적으로 규칙을 따르십시오. 

손절..얼마나 힘듭니까? 저도 매일 손절을 하지만, 할 때마다 힘듭니다. 하지만, 그냥 아,,*&^*&#^*! 욕 한 번하고 그냥 손절합니

다. 그러면 개운합니다...익절도 아무 것도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마십시오. 내일 올라갈 것 같은데...그 마음 잘 압니다...아..차트 

상 보면, 아직 지지선을 뚫지 않았고 5일선을 이탈하지 않았고 어쩌고....그래서 좀 더 버텨보느니 어쩌느니....

네..똑똑하십니다. 무슨 말씀하시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식으로 하실 거였다면 애초부터 손절선을 그런 고민을 하지 않을 정도로 길게 잡으셨어야 하고, 이미 손절선을

뚫은 상황에서 그런 고민을 한다면 그것은 의미 없는 고민입니다. 

일단 손절선을 잡기 전에 지독하게 고민을 하되, 손절선을 뚫고 나서는 아무 것도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말아야 합니다. 

목표에 도달하면 그냥 하십시오. 내일도 오른다는 보장없고, 내일은 내일의 기회가 널려있습니다. 

익절을 하고 나서 제발 쓸데없이 더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는 말도 안되는 바보 천치 같은 생각 좀 버리십시오.  

이익을 실현해야 여러분은 비로소 돈을 번 것입니다...익절을 했다는 것이 비로소 한 사이클의 매매를 완결했다는 것입니다. 

익절을 제대로 했다면, 이후의 결과는 그 놈이 연상을 찍으며 날아가든 말든 여러분이 이전 매매의 성패에는 전혀 영

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익절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놓쳐서 손절을 하게 된다면, 이것은 이후에 연상을 찍으며

날아가도 실패한 매매입니다. 

오늘 수익을 끊어먹어서 아쉬우신 분....종목도 널려있고, 기회도 하루에 수백개씩 새로운 기회가 탄생합니다.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떠오른다는 말이 있죠?

내일은 또 새로운 내일의 음봉 꼬리가 떠오릅니다.  

기회는 널려 있습니다. 수익을 챙길 수 있는 유일한 기회는 현재 수익이 났을 때 이외에는 없습니다. 미래를 내다보지 마십시오. 

단, 현재의 수익은 의미 있는 정도로 큰 정도의 수익이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정한 한계점보다 작은 수익이라면, 미래를 내다보며

참고 기다려야 하지만, 목표에 도달했으면 과감하게 자르십시오. 

이거 습관 안들이면 절대로 수익 실현 못합니다...수익은 언젠가는 실현해야 합니다. 반드시.......습관이고 훈련입니다. 

심각하게 고민해보십시오....아주 심각하게...5시간 동안 고민해보십시오...차트에서 주가의 등락, 일봉의 요동, 위꼬리 아래꼬리

를 유심히 관찰해보십시오....

여러분은 도대체 언제 수익을 실현하려고 하십니까? 네? 좀더 오르고 나서요? 

내가 차트보는 눈이 좀 있으니까 좀 더 꺾이는 거 보고요? 

좀 더 꺾이는 걸 보는 게 여러분의 익절의 기준이라면 그걸 따르시면 됩니다. 좋은 익절의 기준을 가지셨습니다. 

하지만, 여러분 만의 익절의 기준이 없이 그냥 단순히 막연하게 더 오르면 팔지라는 마인드 가지고는 절대로...단 한 푼도 벌지

못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더 오르면 판다는 얘기는 좀 심하게 말하자면, 나는 절대 안 팔겠다...결국 파란색

으로 손실이 난 다음에 팔겠다라고 얘기하는 것과 같습니다. 

여러분...언제 팔려고 하십니까?

언젠가는 팔아야 합니다...안 그렇습니까? 주식을 안 팔면서 어떻게 돈을 벌려고 하십니까? 

팔기 싫으시다고요? 더 오를 것 같아서 안달이 난다고요? 

주가는 '등락'을 거듭합니다.....이 말의 의미를 100번 곱씹어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손절을 하게 되는 여러 경우 중의 한가지에 익절의 기회를 놓친 경우도 포함된다는 사실도 알고 계십니

까? 

정신이 번쩍 드십니까? 

 

+ Recent posts